コンテンツにスキップ

検索結果

一致する結果はありません

韓国語版ウィキペディアの結果を表示しています。

  • 이 문서에는 옛 한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관련 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관련 도움말은 다국어 지원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옛 한글 도움말을 참고하여 볼 수 있습니다. 한/ 또는 아래아한글은 한글과컴퓨터에서 개발된 워드…
    60キロバイト (6,014 語) - 2024年6月1日 (土) 09:18
  • 한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관련 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관련 도움말은 다국어 지원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옛 한글 도움말을 참고하여 볼 수 있습니다. 한글(韓㐎, 영어: Hangeul또는 Hangul), 조선(朝鮮㐎…
    94キロバイト (8,649 語) - 2024年6月24日 (月) 10:34
  • 한글 꼴은 한글을 표기하는 꼴을 말한다.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 한글 꼴은 목판 인쇄에 쓰이던 고어체에서 서서히 실용적인 모양으로 변천하였다. 그러나 약 400여 년간에 걸친 한글 꼴의 변화를 오늘날 남은 문헌에서 살펴보면 그렇게 두드러진 변화가 있지는 않았던…
    8キロバイト (698 語) - 2024年5月3日 (金) 08:37
  • 2017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8일에 확인함.  System requirements for the Google Talk Gadget - Google Talk Help 구 `스마트폰에 말하면 한글이 써진다` 구 토크 - 공식 웹사이트…
    5キロバイト (232 語) - 2024年4月11日 (木) 04:37
  • 일본어의 한글 표기는 19세기 말부터 지금까지 변화해 왔다. 1948년 대한민국 문교부가 제정한 《들온말 적는 법》에서는 반시옷을 쓰는 시도를 보였다. 1970년대에는 か행과 た행을 거의 모든 경우에 각각 ㄲ과 ㄸ으로 표기했는데, 1986년 국립국어원에서 제정한 외래어…
    35キロバイト (580 語) - 2024年5月2日 (木) 10:10
  • 한글 음절(韓㐎音節, 영어: Syllables of Hangul) 또는 한글 자마디는 한글 자모 첫소리와 가운뎃소리 자, 또는 첫소리, 가운뎃소리, 끝소리 자로 이루어진 한글의 단위를 말한다. 현대 한글에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자는 모두 11,172 자이다.…
    6キロバイト (529 語) - 2024年5月21日 (火) 04:12
  • 서비스를 구에서 인수하여 워드프로세서와 스프레드시트와 함께 프레젠테이션 제작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맞춰 구 문서와 스프레드시트의 영문 명칭은 구 독스(Google Docs)로 바뀌었으며, 한글 명칭은 구 오피스로 개명되었다. 현재는 구 문서도구로…
    4キロバイト (323 語) - 2023年10月11日 (水) 01:18
  • 더욱 개방된 오픈 소스로 제공되는 백묵 꼴, 은 꼴, STIX 폰트 등도 이미 오래 전부터 배포되어 왔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꼴 목록 로마자 한글 꼴 한자 꼴 일본어 꼴 컴퓨터 꼴 명조체 고딕체 로마체 산세리프 세리프…
    9キロバイト (864 語) - 2024年6月17日 (月) 10:58
  • 문서에는 옛 한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관련 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관련 도움말은 다국어 지원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옛 한글 도움말을 참고하여 볼 수 있습니다. 옛한글은 지금은 쓰이지 않는, 과거의 한글을 말한다. 첫소리-가운뎃소리-끝소리…
    14キロバイト (1,361 語) - 2024年3月4日 (月) 23:54
  • 취하게 되는 것이다. 꼴을 자들의 너비 변화에 따라 고정폭 꼴과 가변폭 꼴로 나눌 수 있다. 고정폭 꼴: 자에 상관 없이 일정한 너비를 할당한다. 한글 꼴의 경우 한글 자의 폭은 사실 영문 자의 폭의 두배를 차지한다. 가변폭 꼴: 자에 따라 변화된 너비를…
    10キロバイト (916 語) - 2024年5月2日 (木) 11:28
  • 문서에는 옛 한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관련 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관련 도움말은 다국어 지원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옛 한글 도움말을 참고하여 볼 수 있습니다. 한글 낱자 또는 자모(子母, 字母)는 한글의 닿소리 자와 홀소리…
    9キロバイト (1,290 語) - 2024年6月24日 (月) 03:29
  • 누리집 용어를 한글화시키자는 과정에서 생긴 신종 단어이다. 유즈넷(USENET) 뉴스그룹 초창기 시절 'reply'를 '리플라이', '답장' 등으로 주로 사용하였다. 인터넷 용어 한글화를 주제로 토론을 나누는 자리에서 '리플라이', '덧', '댓' 등이 거론되었다…
    12キロバイト (900 語) - 2024年4月11日 (木) 08:48
  • 한글날(영어: Hangeul Day/Hangul Proclamation Day/Korean Alphabet Day) 또는 조선날은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반포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글이 반포된 날을 기념일로 지정한 국경일이다…
    19キロバイト (1,638 語) - 2024年6月18日 (火) 23:03
  • 한글전용(韓㐎專用) 또는 한글만 쓰기는 한국어를 적을 때 한자를 쓰지 않고 한글만을 쓰는 것을 말한다. 한글 학회 같은 데서는 일상 생활에서 한자를 완전히 폐지하고, 한글만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글 전용을 주장할 때 한국어 순화(우리말 다듬기)를 함께 주장하는…
    24キロバイト (2,244 語) - 2024年5月13日 (月) 04:06
  • 5호선 에린턴선 (Line 5 Eglinton), 에린턴 크로스타운선 (Eglinton Crosstown line) 또는 크로스타운 (Crosstown)은 토론토에 새로 지어지고 있는 경전철 노선이다. 메트로링스가 소유하고 토론토 교통국이 운행하는 이 노선은 토론토…
    94キロバイト (7,861 語) - 2024年6月2日 (日) 00:41
  • 이 문서에는 옛 한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관련 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관련 도움말은 다국어 지원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옛 한글 도움말을 참고하여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옛한글을 포함한 모든 한글 낱자 목록이다. 이…
    34キロバイト (180 語) - 2022年2月14日 (月) 08:29
  • 두벌식 자판 (한글 두벌식からのリダイレクト)
    두벌식 자판은 닿소리와 홀소리가 서로 다른 쇠에 배치된 한글 자판이다. 현재 대한민국(이하 남한)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의 국가 표준은 모두 두벌식 자판 기반이며, 학술적으로 두벌식이라고만 하면 두 가지의 표준 두벌식 자판들을 가리킨다. 남한에서 두벌식이라고…
    8キロバイト (715 語) - 2024年5月4日 (土) 10:54
  • 의 연구.통일.발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글학회는 1926년 11월 4일에 한글날(가갸날)을, 1933년에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하고, 한글을 보급하고자 노력했다. 해방 후, 학회는 한글전용을 주장해 국한문혼용을 한글전용으로 쓰는 것을 장려했다. 우리말과 의…
    9キロバイト (893 語) - 2024年5月13日 (月) 03:59
  • 주시경 (두루때からのリダイレクト)
    한글 표기법 통일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한국어 문법을 정리하였다. 독립신문 발행과 각종 토론회, 만민공동회의 자료를 민중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글로 써야 했기 때문이다. 홀대 받던 우리 훈민정음을 '으뜸가는 , 하나 밖에 없는 '이란 뜻을 지닌 '한글'이라는…
    14キロバイト (1,213 語) - 2024年6月19日 (水) 00:26
  • 세벌식 자판 (안마태 소리からのリダイレクト)
    세벌식 자판은 한글 낱자를 3벌(첫소리 1벌, 가운뎃소리 1벌, 끝소리 1벌)로 나누고, 벌이 다른 낱자는 서로 다른 쇠 자리에서 넣거나 서로 다른 입력 방법으로 넣게 한 한글 자판이다. 일반에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종류는 공병우가 개발한 타자기 자판에서 나온 공세벌식…
    26キロバイト (2,557 語) - 2024年2月12日 (月) 09:59
  • 나눔글꼴 (나눔 からのリダイレクト)
    대한민국의 기업 네이버가 2008년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공개한 유니코드 기반의 11,172자의 한글을 지원하는 꼴을 묶어서 칭하는 명칭이다. "나눔고딕", "나눔명조" 꼴과 2010년 10월 9일에 추가된 "나눔손글씨" 꼴 등이 속한다. 제작시 2,350자는 완성형으로…
    6キロバイト (535 語) - 2023年12月30日 (土) 2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