コンテンツにスキップ

検索結果

一致する結果はありません

韓国語版ウィキペディアの結果を表示しています。

  • 심은 대신들의 수장 격인 우의정이자 호경의 아버지 윤승원 : 흥선대원군 역 이민우 : 고종 역 하지은 : 중전 민씨 역 윤희석 : 김옥균 역 염동헌 정동규 김경룡 : 송대감 역 이웅희 하수호 이윤상 진영범 서동원 : 화약기술자 역 오민석 : 민영익 역 손세빈 : 명월…
    16キロバイト (796 語) - 2024年4月11日 (木) 06:01
  • 홍종우 (カテゴリ 저격수)
    조선의 문신이며 대한제국의 근왕주의파 정치인이다. 조선 최초의 프랑스 유학생이다. 1894년 중국 상하이에서 급진 개화파의 거두인 김옥균을 저격하여 암살했다. 그 뒤 과거에 급제하여 출사하였으며, 황국협회의 회원으로 개화파와 독립협회의 활동을 탄압하였으며, 이승만을 체포하여…
    17キロバイト (1,353 語) - 2024年4月11日 (木) 08:58
  • 유혁로 (カテゴリ 저격수)
    지운영의 제의에 김옥균이 응할만도 했지만 김옥균은 서신을 보내 지운영의 면담 제의를 거절했다. 장은규 일파를 상대한 유혁로는 지운영도 자객으로 의심하고 이를 김옥균과 박영효에게 전했다. 지운영의 정체에 의혹을 느낀 김옥균은 거절하는 답신을 보낸다. 김옥균은 유혁로 등에게…
    54キロバイト (4,475 語) - 2024年5月1日 (水) 15:46
  • 정난교 (カテゴリ 저격수)
    12월의 정변 당시 행동 부대를 이끌고 참여하였으나, 청나라군의 출병으로 실패하자 서재필, 김옥균, 박영효, 이규완 등과 함께 망명하였다. 유혁로, 신응희(申應熙) 등과 함께 김옥균, 서광범, 박영효 등을 경호하였고, 조선에서 보낸 자객 장갑복과 지운영을 발각하였으며, 1894년(고종…
    58キロバイト (5,080 語) - 2023年9月24日 (日) 03:18
  • 이규완 (カテゴリ 저격수)
    급사는 국왕이 즉각 김옥균을 참내하도록 내린 어명을 전했다. 김옥균은 황급히 대궐로 향했다. 이들은 왕이 김옥균을 부른 것은 '아마 임금께서 당시 변란의 풍문을 듣고 근심하던 끝에 김옥균을 불러 그 뜻을 타진하시는 것이 아닌가.'하고 생각했다. 김옥균이 입궐한 사이, 회의…
    171キロバイト (15,220 語) - 2024年5月14日 (火) 02:23
  • 송병준 (カテゴリ 저격수)
    일원이며 한일 합병 조약 체결 과정에서도 일진회를 통해 중요한 역할을 했다. 무과 급제 후 무관으로 활동하다가 김옥균을 암살 밀명을 받고 일본에 건너갔지만 오히려 김옥균에게 감화되었고 그의 동지가 되면서 개화파 정치인이 되었다. 그러나 뒤에 친일파로 변절하여 일진회 등의 조직과…
    19キロバイト (1,530 語) - 2024年5月17日 (金) 11:27
  • 민영소 (カテゴリ 저격수)
    1852년 ~ 1917년)는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의 문신, 정치인이다. 1894년 병조판서로 재직하면서 홍종우를 시켜 망명중인 개화파 김옥균을 암살을 사주하였다. 본래 민철호(閔哲鎬)의 아들이나 이조판서를 지낸 민규호에게 입적되었다. 1878년 과거에 합격한 뒤 여흥 민씨…
    5キロバイト (334 語) - 2023年9月23日 (土) 08:04
  • 고영근 (カテゴリ 저격수)
    임오군란 을미사변 명성황후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장충단 홍계훈 이경직 우범선 독립협회 윤치호 서재필 김옥균 유길준 이준용 흥선대원군 구연수 송병준 박영효 이진호 이주회 우장춘 이두황…
    4キロバイト (288 語) - 2023年12月9日 (土)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