コンテンツにスキップ

検索結果

  • ㄹㅅ ㄹㄹ ㄹㅁ ㄹㄹ ㄹㅋ ㄹㅋ ㄹㅋ ㄱ ㄹㅋ ㄱ濃 ㄱㅆ ㅇㄴ ㅇㅁ ㅇㄴ ㄹㅋ ㄹㅋ ㄹㅋ ᇚ ㅁ ㅁㄱ ㅁ● ㅁㅅ ㅁㄴ ㅁㅁ ㅁㄴ ㅁㅋ ㅁㄱ ㅁㅋ ㅁㄴ ㅁ ㅁㄴ ㅁ● ㅁㅅ ㅁㄴ ㅁㅁ ㅁㄴ ㅁㄴ ㅁㄴ ㅁㄴ ᇛ ㅁ ㅁㄴ ㅁ● ㅁㅅ ㅁㄴ ㅁㅁ ㅁㄴ ㅁㄴ ㅁㄴ ㅁㄴ ㅮ ㅁ ㅁㅂ ㅁ●…
    15キロバイト (960 語) - 2023年11月26日 (日) 13:11

韓国語版ウィキペディアの結果を表示しています。

  • 계 합용 병서(-系合用竝書)는 한글 겹낱자의 조합 원리 중 하나인 합용 병서 중 으로 시작하는 겹낱자를 말한다. ㅲ·ᄟ·ㅳ·ᇣ·ퟤ·ퟥ·ㅄ·ㅶ·ᄨ·ꥳ·ㅷ·ᄪ·ᇥ 등이 있는데, 그중에서 현재 ㅄ만이 받침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이며 나머지는 모두 사용되지 않고 있다. 중세…
    4キロバイト (88 語) - 2022年3月6日 (日) 03:23
  • (비읍)은 한글의 자음 중 여섯 번째 자음이다. 현재 한국어에서는 양순 파열음을 나타내며, 낱말 처음에 올 경우 무성 양순 파열음(안울림소리)[ p⁽ʰ⁾ ], 낱말 중간 유성음 사이에 올 경우 유성 양순 파열음(울림소리)[ b ]이 된다. 받침에 올 경우 양순 불파음[…
    2キロバイト (63 語) - 2023年6月12日 (月) 21:15
  • 바로가기: ㄱ 경 구 ㄴ ㄷ ㄹ ㅁ 명 무 묵 불 ㅅ 삼 삽 선 소 수 시 심 ㅇ 오 온 유 육 이 ㅈ 정 지 ㅊ ㅋ ㅌ ㅍ ㅎ 바깥[外]은 내적인 것[內]에 대해 외적인 것[外]을 뜻한다. 예를 들어, 근(根) · 경(境) · 식(識)에서 가설적 존재로서의 나[我]를…
    410キロバイト (51,294 語) - 2023年11月1日 (水) 04:13
  • (からのリダイレクト)
    ㅄ(표준어: 비읍시옷, 문화어: 비읍시읏)은 한글 낱자의 과 ㅅ을 합쳐 놓은 것이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초성에서도 쓰였으나, 지금은 받침에만 쓰인다. ‘값’처럼 혼자 소리낼 때에는 소리만 나지만 ㅇ이 뒤에 올 때에는 ㅆ 소리가 나는 어근의 받침으로 쓰인다. 값을…
    2キロバイト (68 語) - 2022年7月30日 (土) 00:08
  • (からのリダイレクト)
    다국어 지원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옛 한글 도움말을 참고하여 볼 수 있습니다. ㅃ(표준어: 쌍비읍, 문화어: 된비읍)은 한글 낱자의 을 어울러 쓴 것이다. 초성으로만 쓰이고 종성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훈민정음 초성 체계로는 혓소리이다. 15세기 당시 각자 병서 ㅃ은…
    2キロバイト (106 語) - 2022年7月30日 (土) 00:02
  • ㅄ계 합용 병서 (からのリダイレクト)
    병서(-系合用竝書)는 한글 겹낱자의 조합 원리 중 하나인 합용 병서 중 ㅄ으로 시작하는 겹낱자를 말한다. ㅴ·ㅵ·ᄤ·ᄥ·ᄦ·ꥲ 등이 있으며, 모두 현대 한국어 표기에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중 받침으로 사용되는 글자는 단 ퟧ뿐이었다. 계 합용 병서 ㅄ ㅅ계 합용 병서…
    2キロバイト (55 語) - 2023年3月29日 (水) 06:46
  • ISO 639 (の節)
    표준은 다음과 같다. 언어의 한국어 명칭에 따라 가나다순으로 정리되어 있다. 바로가기: ㄱ ㄴ ㄷ ㄹ ㅁ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바로가기: ㄱ ㄴ ㄷ ㄹ ㅁ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IETF 언어 태그 ISO 3166 ISO 15924 언어 코드 공용어 목록…
    39キロバイト (94 語) - 2024年6月1日 (土) 09:48
  • (からのリダイレクト)
    ㄼ(리을비읍)은 한글 자모의 ㄹ과 을 겹쳐 놓은 것이다. 첫소리로는 쓰이지 않고 용언의 받침으로만 쓰인다. 어말이나 닿소리 앞에서는 ㄹ로 소리나고, 다음 음절이 홀소리로 시작되는 경우는 ㄹ, 다음 음절 첫소리가 이 된다. 넓다 → [널따] 넓어 → [널버] 넓고 →…
    2キロバイト (100 語) - 2023年8月23日 (水) 18:23
  • (からのリダイレクト)
    있습니다. 관련 글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글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관련 도움말은 다국어 지원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옛 한글 도움말을 참고하여 볼 수 있습니다. ᇻ(표준어: 기역비읍, 문화어: 기윽비읍)은 한글 낱자 ㄱ과 을 나란히 놓은 것이다.…
    485バイト (46 語) - 2022年2月14日 (月) 10:04
  • (からのリダイレクト)
    ㅸ(가벼운비읍, 경비읍, 여린비읍, 순경음 비읍)은 한글 낱자 과 ㅇ을 쌓아놓은 것이다. 15세기 한국어의 유성 양순 마찰음 [β] 소리를 나타냈던 것이라 여겨지는데, 두 모음 사이, y와 모음 사이, ㄹ과 모음 사이, ㅿ과 모음 사이의 제한된 환경에서만 나타났다.…
    2キロバイト (130 語) - 2024年6月2日 (日) 13:51
  • (からのリダイレクト)
    글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글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관련 도움말은 다국어 지원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옛 한글 도움말을 참고하여 볼 수 있습니다. ꥡ 또는, ퟏ(표준어: 디귿비읍, 문화어: 디읃비읍)은 한글 낱자 ㄷ과 을 나란히 놓은 것이다.…
    665バイト (48 語) - 2022年2月8日 (火) 12:22
  • 안울림소리이다. 끝소리에서는 과 같다. 국제 음성 기호로는 초성에서 무성 유기음[ pʰ ], 종성에서 양순 불파음[ p ̚ ]이 된다. 종성 ㅍ의 소리는 종성 과 같다.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입술소리이다. 제자 원리는 ㅁ에 획을 더해 , 거기에 획을 다시 더해 ㅍ을…
    2キロバイト (63 語) - 2024年6月1日 (土) 10:25
  • ㅅ계 합용 병서 (からのリダイレクト)
    별도의 음가를 가졌는지 혹은 된소리를 표기하기 위한 것이었는지에 대하여는 논쟁이 있다. 근대 한국어에 들어서는 된소리로 발음된 것이 명확하며, 각자 병서의 표기법이 확립되기 전까지는 ㅅ계 합용 병서가 된소리의 표기로 자주 사용되었다. 계 합용 병서 ㄹ계 합용 병서…
    7キロバイト (97 語) - 2024年1月23日 (火) 07:27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에서는 으로 시작되는 제목의 대한민국의 드라마을 서술한다. 바람 불어 좋은 날 (드라마) 바람과 구름과 비 (1989년 드라마) 바람과 구름과 비 (2020년 드라마) 바람꽃 (드라마)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드라마) 바람은 불어도…
    5キロバイト (391 語) - 2024年6月5日 (水) 10:33
  • ,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일반적으로 한 낱자는 한 소리를 나타내고, 두 낱자를 합쳐서(겹낱자) 다른 소리를 나타낸다. 단, 음성학적으로는 거센소리 ㅊ, ㅋ, ㅌ, ㅍ은 각각 ㅈ, ㄱ, ㄷ, 과…
    9キロバイト (1,290 語) - 2023年4月7日 (金) 12:17
  • 순치음, 치순음으로 나뉜다. 한국어에서는 ㅁ이 양순 비음이고 , ㅃ, ㅍ이 무성 양순 파열음이다. 중세 한국어의 ㅸ, ㅹ, ㆄ은 무성 양순 마찰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여겨진다.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 'ㅍ', 'ㅃ', 'ㅁ'의 4 자모가 설음에 분류된다. 오음의…
    3キロバイト (207 語) - 2024年6月2日 (日) 00:11
  • 법적인 지위를 가지는 언어를 말한다. 공용어가 없는 나라도 있으며, 지방 정부가 따로 공용어를 지정하는 경우도 있다. ㄱ ㄴ ㄷ ㄹ ㅁ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갈리시아어 스페인 갈리시아 과라니어 파라과이(공용어)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그리스어 그리스(공용어) 키프로스(공용어)…
    18キロバイト (776 語) - 2023年10月16日 (月) 06:26
  •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이 소리는 많은 언어에 존재한다. 한국어: 낱말의 맨 첫소리 '·ㅍ·ㅃ'과 무성음 받침('ㄱ', 'ㅅ', '') 뒤에 오는 ''에서 이 소리가 난다. 첫소리 ㅍ은 유기음이다. 중국어: 모든 병음 'p', 어두나, 무성음 자음 사이의…
    3キロバイト (234 語) - 2024年4月27日 (土) 13:56
  • 음성적으로도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의 경우에 어떤 환경에 놓여 있는가에 따라 다른 소리가 될 수 있다. ‘박수’의 첫소리 //은 무성음 [p]로 발음되지만 ‘수박’의 두 번째 음절의 첫소리 //은 유성음 [b]로 발음된다. 이들은 음성적으로는 다른…
    5キロバイト (444 語) - 2024年6月18日 (火) 11:20
  • 원래부터 상성은 장음이었다. 성조는 16세기 말엽에 한국어에서 완전히 소멸되었다. 입성은 높낮이와 아무 관련이 없다. 종성이 ㄱ, ㄷ, 으로 끝나는 음절은 모두 입성이며 동시에 평성, 거성, 상성 셋 중의 한 성조를 취한다. 평성(平聲): 방점이 없다. 낮고 짧은 소리(저조:…
    2キロバイト (183 語) - 2024年5月3日 (金) 02:54
  • ᅄ과 ᅋ은 각각 ㅇ과 , ㅇ과 ㅍ을 겹쳐 적은 합자이다. 20세기 초반에 [v]와 [f] 소리를 적기 위해 만들었다. 18세기 《청어노걸대》는 만주어의 [f]발음을 ㅍ으로 적었다. 20세기 초에도 [v]와 [f]를 , ㅍ으로 적는 기록도 있었지만, 지석영의 《아학편》(1908)이나…
    2キロバイト (116 語) - 2023年1月23日 (月) 11:57